카테고리 없음

[주형 방수 자격증] 합격 팁 !!! f4 비자 변경 건설 현장 자격증 [도장 온수 온돌 철근

아이론 2021. 10. 12. 23:41

안녕하세요~

2021년, 신축년, 새해가 밝았네요. 새해에는 좋은 계획 많이 세우셨나요?
오늘은 2021년 필기시험 당시 실기만으로 자격증 취득이 가능한 건설현장 자격증, 즉 도장 온수 온돌 철근 거푸집 발판 방수 자격증에 대해 시험일정, 시험접수 요령, 한번에 합격할 수 있는 팁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건설현장자격시험을준비하기위해서먼저필요한자격을선정하고-시험일정확인-준비를하셔야되겠죠.
상담을 해보니 f4비자 변경을 위해 H2, C38, F1, F6비자를 소지하고 있는 중국동포, 고려인 분들이 가장 많이 질문하는 것이 "어떤 자격증이 빠르고 쉽습니까?"입니다. 이런 질문을 하시는 분은 주변에 친구나 친척들이 한꺼번에 취득하고 어떤 분은 힘들게 취득한 분이 계셔서 노파심에서 질문을 하는 겁니다.
F4 비자 변경을 위해서는 먼저 한국 내 체류 기간이 얼마나 남았는지를 반드시 확인하고 본인이 지금 현재 하고 있는 것과 관련된 자격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보온을 하는 법이나 시설, 에어컨, 위생 시설 등에서 일을 하거나 할 예정이라면 온수 온돌 자격증을 따는 것이 좋다.
철근, 콘크리트 건설물 축조하기, 미장, 방수, 조적, 지붕공사, 판넬공사, PVC가공 부착공사 이런 일 하시면 방수자격증 취득하시라고...

어쨌든F4비자자격증종목을선택하는데있어서본인의적성및향후방향을충분히상담하고결정하면좋을것같습니다.2021년에 방수·건축도장기능사 자격은 상시 시험으로 분류되고 전체 시험 횟수가 15회나 되기 때문에 거의 매달 시험을 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만큼 인기가 있고 시험 횟수도 지난해에 비해 늘어난 것이 사실이지만 11번 상시 시험장은 안성, 부산 국가시험장에서만 응시가 가능하고 지원자도 많아 시험 장소 및 인원은 일정 인원으로 한정돼 있어 선착순 접수가 항상 어렵습니다.그래서 접수날은 항상 전쟁터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시험접수를 하려면 개인적으로 직접 접수가 어려운 분들은 학원에 미리 부탁해. 의뢰를 하는 게 현명할 것 같아요
오늘은 방수 기능사 자격증과 철근 기능사 자격에 대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방수 자격은 먼저 실기 시험 시간이 2 시간 10 분으로 다른 시험에 비해 비교적 짧습니다.
물론시험시간전에준비작업,펠트지부착작업이있지만준비작업인펠트지작업이끝나면시트지부착작업부터시험채점에들어가게됩니다.(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 방수 작업 순서는 벽과 바닥이 만나는 부분부터 먼저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보강재 작업부터 시작해야 합니다.모든 시험에서 같지만 한번에 합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희 학원에서는 오랫동안 학생들을 지도하고 합격시킨 경험을 바탕으로 축적된 합격 팁, 노하우를 가지고 있어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지도해 드릴 테니 합격에 대한 열정만 가져오세요.철근 자격증은 작년만 해도 1년에 2번 있었지만, 2012년에는 시험 횟수가 3번(4월, 6월, 11월) 시험이 있습니다.
물론그전에지원서를접수해야되니까최대한빨리방문하시는게좋겠죠.철근자격시험을 한마디로 하면 3시간30분동안 철근 10mm, 13mm 철근을 갖고 도면에 따라 가공 조립하면 됩니다.주의할 점은 가세근의 방향, 보주근은 기둥 중심선을 통해 정착, 치수 오차, 철근 이음 등 철근 시험에서 실수하기 쉬운 오작을 없애려면 철근을 치수에 맞게 정확하게 절단해야 하고 배근도중 허용범위 오차를 체크하는 습관도 필요합니다.
철근을 현장에서 10년, 20년의 경험이 있어도 철근 자격시험을 볼 때는 초심으로 돌아가 진지하게 배우는 자세가 한번에 합격하는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2021년 f4 비자변경을 위한 건설현장 자격증, 국가기술자격증 시험일정이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요즘 중국에 가면 코로나 때문에 항공료, 격리비용 등이 든다고 합니다. 실기만 평가하고 f4비자변경을 할 좋은 기회에, 먼저 비자변경을 해서 한국에서 근무하고 있고, 코로나가 조용해지면 본국에 방문하는 현명한 지혜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자, 저희와 함께 자격증 취득을 함께 진행하지 않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