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의학적 해석 그리고 치료법 제시-안양 백제한의사 37. 담진질환(담적병)의 관점에서 본 당뇨병과 고지혈증의
    카테고리 없음 2021. 7. 11. 12:11

    안녕하세요 안양 백제한의원 대표원장 한의사 이진홍 입니다오늘은 성인병의 대명사인 당뇨병과 고지혈증에 대해 안양백제의원에서 어떻게 해석하고 있으며, 그 치료법이 어떤 것인지 제시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당뇨병과 고지혈증의 정의

     

    당뇨병이나 지질이상증이라는 질병은 아시다시피 혈중에 존재하는 유기 물질 중 당 성분이나 지질 성분이 기준 이상으로 혈중 농도가 높아진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다.혈중에는 일정 비율 농도의 포도당과 지질 성분이 존재하고 있는데, 기준 이상으로 농도가 높고, 일정한 수치 이상인 경우 고혈당증, 즉 당뇨병이라고 하며, 지질 성분 농도가 높아진 상태를 고지혈증이라고 합니다.

     

    앞서 백제한의원 블로그에서 '엑기스란 무엇이며 쓸개란 무엇인가?'에서 언급했듯이 엑기스에 존재하는 성분 중 수분진액과 유기물질의 비율이 일정 이상 변화한 것을 진액이라는 말 대신 함유물질이라고 부릅니다.

    혈액 내에 존재하는 엑기스를 구성하는 성분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져 있는 상태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고혈당 상태의 당뇨병은 혈중에 쌓여 물질이 많아진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에 지질 성분이 많은 경우를 고지혈증이라고 하며, 이것도 혈액에 쌓여 물질이 많이 쌓였다고 정의할 수 있을 것입니다.(쌓여 쌓였다) = 쓸개 쌓기.

     

    일반적으로 추출물인 소독담진물질은 인체 조직의 어느 부위에나 존재하며 어디에 얼마나 많이 존재하느냐에 따라 담진병을 만드는 것입니다.이것이 메는 사람의 발병 원리인데요.

     

    우리는 입으로 들어간 음식과 음식을 소화기관에 접촉시켜 소화기관은 기계적인 소화(저작운동 연동운동)와 화학적인 소화(소화액 소화보조물질 분비)를 통해 분자가 큰 유기물질을 소화기지막을 통해 흡수할 수 있도록 미세 분해하고

    이때 체내에 들어온 미세하게 분리된 유기물질과 물 분류물질은 림프계 정맥혈관계 등을 통해 인체 곳곳에 필요한 곳으로 보내져

    인체는 이러한 물질을 이용하여 에너지(ATP)를 만들고, 인체에 필요한 유기물질을 합성하거나 내분비 호르몬 및 체구성 물질을 합성하여 생명활동에 활용합니다.

     

    최종적으로는 몸 밖으로 배설되어야 합니다.이러한 물질 등을 달리하여 작은 분자의 물질로 대사하며, 이때 만들어진 수분추출물과 함께 대사물질이 소변으로 인한 대변으로 피부에 눈물, 콧물, 객담, 타액 등으로 체외로 배출하는 배설과정을 통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면서 생명활동을 지속합니다.

     

    입으로 가져온 음식은 인체에 반입 후 대사되어 체외로 나오지 못하면 체내 어딘가에서 조금씩 축적됩니다.일정 이상 누적됨으로써 세포조직의 형태와 크기 변화, 무게 변화 기능의 변화 등을 가져와 결국 세포조직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다양한 병증을 일으킵니다.(담적병, 담적증후군 형성)

     

    이러한 원리로 볼 때 당뇨병과 고지혈증 등은 담진물질이 필요 이상 혈액 내에 쌓인 담진병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혈액담적병입니다.

    혈액을 채취하여 농도 검사를 통해 진단을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서 생각을 펼쳐봅시다.

     

    혈중 혈당치가 높으면 혈액에만 당 성분이 높은 것입니까? 인체의 다른 곳에도 많지 않나요?혈중 지질 농도가 높으면 혈액만 가지고 있는 높이라고 생각하십니까?다른 곳에서는 비싸지 않을까요? 그렇지 않습니까?

    그렇습니다, 혈중에 많다는 것은 다른 조직에도 많이 있다는 방증입니다.

    따라서 당뇨병이나 고지혈증이 있다는 사실은 인체의 다른 조직에도 많은 담진물질이 축적되어 있다는 의미이고 방증이며 담진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입니다.

     

    당뇨 고지혈증의 치료법 제시

     

    위와 같은 원리로 추출물이 도달할 수 있는 장소 등 어디서나 들것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당뇨나 고지혈증도 그 치료법에 있어서는 수독담 질환의 치료법을 따를 필요가 있습니다.

    해독과 배출이 그것입니다.

    해독은 세포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유기물질을 수분의 엑기스와 CO2로 변화시키고 이를 체내에 쌓이지 않도록 인체 배출통로의 기능을 살려 배출되도록 해야 합니다.용기의 배출 통로에는, 인체의 여러가지 조직 기관이 관여합니다.

    이러한 배출통로에 관여하는 조직기관으로는 신장비뇨기계 소화기계인 위장, 대장 간담계 피부호흡기계인 폐계의 기능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몸의 대사 물질인 노폐물은 소변, 대변, 땀 등으로 많이 배출됩니다.

    소변, 대변, 땀 등의 변화는 수독 담진질환(담적병) 발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잘 조절하는 것이 배출기능을 활성화하는 길이요, 담낭치료의 키워드인 해독과 배출의 중요한 관건입니다.

    대사질환인 당뇨병 고지혈증을 포함한 수독이 들어간 질환은 위 원리로 발생하며 이 원리로 치료됩니다.

     

    현재 혈액담적 중 하나인 당뇨 고지혈증의 치료 및 관리는

    안양백제한의원의 수독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주목하세요.

    난치병 극복의 희망이 되겠습니다.

     

     

    오늘은 수독담질환의 일종인 혈액담적 당뇨고지혈증에 대해, 안양백제한의원의 새로운 병리개념의 원리와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1.3.14.

     

    코로나 극복 후 일상을 그려보세요.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안양백제한의원 수독단음질환연구소 한의학박사 이진홍

Designed by Tistory.